반응형 분류 전체245 인터넷 주소창에 173.194.38.208 이 나올 경우 해결방법 안녕하세요. 오늘 포스트는 공유기 해킹 및 악성코드, 크롬바이러스의 해결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목차 1. 상황 설명 2. 원인3. 해결방법4. 공유기 별 해결방법 1. ipTIME 2. WeVO5. 제조사 별 링크 1. 상황설명 공유기가 악성코드에 감염되면 네이버 또는 구글에 접속 시 인터넷 주소창에 173.194.38.208 과 같이 이동이 됩니다.저 또한 며칠전 구글 google 에 접속을 하니 173.194.38.208 로 리다이렉트 되는 현상과 함께,한층 개선된 chrome의 최신버전이 출시되었습니다. 업데이트후 이용해주십시오. 라는 문구가 나오는 일을 겪었습니다. ㅠㅠ마치 크롬바이러스 처럼 자동 로그인 된 것은 풀려있고, 구글 뿐만 아니라 네이버 또한 ip 주소가 도메인 주소 대신 뜨는 .. 2014. 12. 31. CGV 관람권 스크래치 훼손시 처리방법 안녕하세요, 오늘 포스팅은 CGV 영화 관람권 스크래치에 대하여 써보고자 합니다. 이 포스팅을 보시는 분들은 아마도 이미 안타까운 상황이 발생한 후 검색을 통해 들어오셨으리라 생각됩니다. ㅠㅠ - 문제상황 골드클래스 관람권이 처음 생긴 저는 즐거운 마음으로 주머니속에서 백원짜리 동전을 꺼내들고는 뒷면의 Password 스크래치를 박박 긁었습니다... ㅠㅠ 그리고는 아래와 같이 글씨를 알아볼 수 없게 됨 ㅠㅠ 수습을 하기 위해 손가락으로 밀며 해보았지만 되지 않았습니다 ㅠㅠ - 해결방법 저는 다행하게도 두 장의 관람권이 있었습니다. 두 번째 긁는 관람권은 아주 조심히 긁은 뒤 등록하고, 이 번호를 토대로 앞에서 날려먹었던 관람권의 번호를 추측하였습니다. 결과적으로는 성공!! 다 그런것 인지는 모르겠지만, .. 2014. 12. 30. Misc.Suspicious.NTZ 악성코드에 관하여 안녕하세요 오늘의 포스팅은 Misc.Suspicious.NTZ에 관하여 써보고자 합니다. 오래간만에 잘 사용하지 않던 데스크탑을 검사할겸 설치되어있는 알약 프로그램으로 바이러스 검사를 해보니 3개의 파일의 악성코드 감염이 나왔습니다 ㅠㅠ 사진을 보시면 Misc.Suspicious.NTZ라고 나와있는데, 파일의 경로를 보니 nProtect에 관련한 것이었습니다. nProtect는 인터넷뱅킹과 같은 보안이 필요한 사이트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램으로 알약이 이 파일들을 악성코드로 진단하였습니다. 알약에 nProtect를 악성코드로 진단한 이유 - nProtect 프로그램에서 원격코드실행이 가능한 취약점이 발견됨 - 사용자의 컴퓨터에 악성코드를 감염시킬 우려 발생 - 악성코드로 인해 개인정보 유출 우려 - nPro.. 2014. 12. 28. 수상한 173.194.38.208 집의 공유기에 물린 컴퓨터에 google.com을 쳐서 들어가면 173.194.38.208로 접속이 된다. 가끔 google.co.kr로 접속이 되지 않는다... 맥, 윈도우 둘다 가리지 않고 173.194.38.208로 접속된다 173.194.38.208은 구글의 ip임이 맞는 것 같지만.. 이게 뭔지 ㅠㅠ 검색중인데 최근에 사람들이 지식인 같은 곳에 글을 남긴것을 보면 집단적인 해킹의 조짐인가? 싶기도 하다... 173.194.38.208로 접속된 곳 에는 불안해서 로그인도 하지 않았다.. 어서 뭔지 알고 싶다. => 해결방법을 새 포스트에 적었습니다 http://korbillgates.tistory.com/19 2014. 12. 27. 이전 1 ··· 56 57 58 59 60 61 62 다음 반응형